본문 바로가기

한한담 Season.2/서울

[서울] 반갑다! 숭례문아! (남대문)

반응형

반갑다 숭례문아 (남대문)!

 

서울에 일이 있어서 갔다가

며칠 전 복원이 된 숭례문을 만나러 갔다.

 

숭례문(대한민국 국보 1) - 숭례문은 조선 태조 7(1398)에 한양도성의 남쪽 대문으로 세워졌다. 그 후 세종 30(1448), 성종 10(1479), 고종 연간에 큰 수리가 있었다. 조선시대에는 매일 밤 인정(10시 무렵)에 문을 닫았다가 다음 날 아침 파루(4시 무렵)에 문을 열었는데, 이 때 문루에 종을 달아 그 시간을 알렸다. 장마나 가뭄이 심할 때는 임금이 몸소 기청제와 기우제를 지내는 등 숭례문에서는 국가의 중요한 행사가 거행되곤 하였다.

석축 위에 세워진 중층 누각은 장식이 간결하고 내부 구조가 견실하여 조선 초기 건축기법을 잘 간직하고 있다.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는 좌우 성곽이 철거되었으며, 한국전쟁 때 피해를 입어 1961년부터 1963년 사이에 해체보수를 하였다. 2008210일 방화 사건으로 크게 훼손되어 20134월까지 복구하였으며, 이때 좌우 성곽도 함께 복원하였다. - 공식설명문 중

 

숭례문은 복원이라고 하지만 다시 태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.

역사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닌 문화재였다.

그래서 일까?

복원 후 더 많은 사람들이 숭례문을 만나러 오는 것 같았다.

 

이미 주위의 기업들은 그 사람들에게

우리도 착한일 하고 있어요! 라고 말하듯이!


[촬영 모드 : 풍경]

[촬영모드 : 풍경]


숭례문 복원을 너나 할 것 없이 축하해주고 있었다.

(! 대박! 이라는 생각보다는 왠지 모를 씁쓸함이 더 컸다)

 

이 씁쓸함을 지나

 

드디어 숭례문을 마주했다.


[촬영모드 : 풍경사진]

 [촬영모드 : 풍경사진]


안타깝게도 일반적인 박물관처럼 월요일은 휴관이어서 들어가 보거나 하지는 못했다.

 

그렇지만 오히려 사람들이 방문을 안 하기 때문에 조용히 숭례문을 관람? 할 수 있었다.

(한편으로는 복원 뒤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일주일 내내 시달렸을까? 오늘 하루 정도는 쉬어줘야지 또 다른 사람들을 다시 활기차게 만나지!? 라는 생각도 들었다. )

 

숭례문을 한 바퀴 돌면서

 


[촬영모드 : 풍경사진]

[촬영모드 : 풍경사진]

[촬영모드 : 풍경사진]

[촬영모드 : 풍경사진]

[촬영모드 : 풍경사진]

[촬영모드 : 풍경사진]

[촬영모드 : 자동]

 

숭례문을 만났고, 만남 뒤에 바로 이별을 했다.

 

[촬영모드 : 자동(역광)] 


이별을 하고 돌아오는 길에

문득, 숭례문이 방화범에 의해서 불타기 전에는 왜? 안 와봤을까? 그때는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없던 것일까? 라는 생각과 함께, 복원 전 숭례문을 직접 못 본 것이 후회되고 미안했다.

 

이제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 왔으니 앞으로도 이 자리를 굳건하게 지켜줬으면 한다.

 

그리고 정말 반갑다! 숭례문아!





▲위를 클릭하면 페이스북으로 이동됩니다.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