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테크담다

용인, 세계 최대 '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' 생긴다.

반응형

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규모의 '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'가 들어설 예정이다. 정부는 20년동안 300조원을 투입해, 전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없는 '메가 클러스터'를 조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.

 

첨단 반도체 공장(팹)을 5개 구축하고 소재/부품/장비(소부장)과 반도체 설계(팹리스)기업을 유치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킬 목표를 밝혔다.

 

지난 15일 정부는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된 제 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열고, '국가첨단산업육성전략'과 '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'을 설명했다.

 

윤석열 대통령은 "최근 반도체에서 시작된 경제 전쟁터가 배터리/미래차 등 첨단산업 전체로 확산되고 있고, 각국은 첨단산업 제조시설을 자국 내에 유치하기 위해 대규모 보조금과 세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."면서 "우리는 메모리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(OLED) 디스플레이 등 일부 분야에서 이미 세계 수준의 기술과 생산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만, 더 성장하기 위한 민간의 투자를 정부가 확실히 지원하지 않으면 안된다"고 말했다.

그러면서 경기도 용인을 첨단 시스템 반도체 산업단지로 정했다고 말했다. 

용인은 이미 SK 하이닉스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잇고, 평택과 화성 등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 및 연구 개발(R&D) 거점과도 인접하다.

특히, 삼성전자는 총 6개 팹까지 확장할 수 있는 평택 부지 외에 새로운 부지를 물색하고 있는 만큼 용인에 신규 팹을 대거 구축할 것으로 예상된다.

 

경기도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유치하는 이유는 우수 인력 확보가 쉽고, 성남과 판교 그리고 주변에 위치한 반도체 클러스터와 연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게 업게의 중론이다. 

이번에 조성될 클러스터에는 비메모리부분 시스템 반도체를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. 기존 메모리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의 단점을 보완하고, 기존보다 더 수익성이 좋은 산업을 통해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다는 것으로 보인다. 

 

위치적으로는 여러 브랜드들과 가운데에 위치해 최적의 장소로 보이지만, 투자만으로 과연 새로운 시장의 선두가 될 수 있을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. 

반응형